본문 바로가기

부동산 이야기

서울아파트 거래량 확인[부동산 가격 회복 시그널일까?]

728x90
반응형
서울 아파트 거래량 4개월 연속 증가

아파트 거래량이 회복하면 과연 부동산가격도 회복하면 시그널일까?!
부동산 뉴스 제목만 읽지 말고 팩트체크 해보자!

 

 

 

 

 

 

서울아파트 월별 매매거래량 확인


서울부동산정보광장 > 부동산거래정보 > 부동산거래현황

기간별로 조회하여 거래 건수를 확인할 수 있음

부동산정보통계시스템(R-ONE)보다 거래취소 건수도 반영하여 좀 더 정확하다고함

 

 

서울 아파트 월별 매매거래량(2006년~2023년)


■ 서울 한달 평균 거래량은 6천건임
■ 거래량이 폭증했을 때 거래량은 1만 건
참고로 서울시 한달 전세거래량은 1만8건임

위 두가지를 우선 참고하여 외우기!

■ 아래 집값과 거래량 사이의 상관관계 도표 해석
- 노란색 음영부분 해석 : 거래량이 폭팔적으로 증가할 때는 어김없이 가격상승이 있었음
- 초록색 음영부분 해석: 최근 폭등장에서 거래량이 줄었던 건 규제로 인해 얼마 없는 매물이 거래되면서
가격급등이 일어남(영끌하면 위험한 시기임)
-파란색 음영부분 해석 : 단순히 거래량이 증가하면 가격상슨 신호라는 말은 위험 할 수 있음
집값이 빠지는 상태에서 거래량이 늘어나는 경우

결론 : 매매건래 1만건은 의미 있는 기준으로 두고 집값 상상의 큰 시그널이 왔음을 알려줌

 

 

 

 

 

 

서울시 매매와 전세거래 가격지수 비교


■ 전세거래 > 매매거래 :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서 전세로 수요가 몰림

■ 전세거래 < 매매거래 : 부동산 가격이 회복하면서 매매로 수요가 몰림

오랜기간 매매보다 전세거래량이 많았다가 전세보다 매매거래량이 증가될 때!
그리고 하락기간이 길었었고 가격부담이 낮아졌을 때, PIR이 낮고, 전세가율이 높아졌을때 가 바로 매수적기

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가격. 모든 전제는 가격이 저렴해야 함
매매거래량은 매수에 대한 확신을 더해주는 보조지표로만 활용할 것

+ PIR이란?

 

내집 마련 언제하면 좋을까?[PIR 지수12이하/전세가율 60이상]

서울 아파트는 언제사는 것이 좋을까? 우선 부동산을 공부할 때는 나만의 기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를 기준으로 PIR과 전세가율이 얼마였을 때 부동산이 가장 저렴했는지 확인해보고 나

earthview.tistory.com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